티스토리 뷰

반응형

 

"자전"이라는 말은 스스로 회전을 한다는 말입니다. 이 거대한 지구가 그냥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도 스스로 회전을 하면서 지구 주변을 또한 공전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마치 팽이처럼 매일 스스로 돌아가면서 또한 태양 주변을 총알보다 빠른 속도로 날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구의 자전 속도 및 지구가 23.5도 기울어져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구의 자전 속도는 지구가 자체 축을 중심으로 한 바퀴 도는 속도를 말합니다. 자전 속도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1. 적도에서의 자전 속도

지구의 적도에서 자전 속도는 약 1,674 km/h (465 m/s)입니다. 이는 지구의 둘레(약 40,075 km)를 하루(24시간) 동안 회전하는 시간으로 나눈 결과입니다. 1초에 465미터를 날아가는 것입니다. 시속이 1,674km입니다. 서울과 부산의 거리를 우리가 고속도로를 이용해서 갈 경우 보통 400km정도로 생각을 합니다. 그럴 경우 지구의 자전 속도는 1시간만에 서울과 부산을 2번 왕복을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2. 위도에 따른 자전 속도

위도가 높아질수록 자전 속도는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극지방에서는 지구의 회전 중심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자전 속도가 거의 0 km/h에 가깝습니다.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극지방은 중심부가 되니 자전 속도가 거의 없는 상황입니다.

 

3. 지구 자전의 주요 특징

지구 자전의 주기는 약 23시간 56분 4초(항성일 기준)입니다. 이는 태양일(24시간)보다 약간 짧습니다. 축 경사의 경우 지구의 자전축은 약 23.5도 기울어져 있어 계절 변화가 발생합니다. 기울어져 있지 않다면 계절에 변화가 없을 것입니다. 다 기울어진 이유가 있습니다. 감속 현상도 발생을 하는데요, 달과의 조석 상호작용 때문에 자전 속도가 매년 약 1.7밀리초씩 느려지고 있습니다.

 

4. 자전 속도의 영향

자전 때문에 지구에 원심력이 발생해 적도가 약간 팽창하고 극지방이 약간 납작한 모양(회전 타원체)을 띱니다. 날씨와 기상 현상, 해류의 방향, 코리올리 효과 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지구는 왜 이렇게 자전을 하고 공전을 할까? 왜 23.5도가 기울어져 있을까? 모두가 우연적으로 생긴 것일까? 빅뱅이론으로 우주가 대폭발로 인해서 모든 것들이 형성이 되고 어쩌다보니 이렇게 정교하게 되어버린 것일까? 아니면 이 모든 것을 만드신 창조주가 계시는 것일까? 한번 깊이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반응형